전체 글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효과적인 스크럼 진행 순서 스프린트 계획 팀은 다가오는 스프린트를 계획하기 위해 만납니다. 어떤 사용자 스토리(기능)에 우선순위를 부여할지 결정하고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합니다. 일일 스탠드업 팀은 매일 만나 진행 상황과 직면한 장애물에 대해 논의합니다. 각 팀원은 세 가지 질문에 답합니다. 어제 무엇을 했습니까? 나는 오늘 무엇을 할 계획입니까? 작업을 완료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이 있습니까? 스프린트 검토 스프린트가 끝나면 팀은 완료된 사용자 스토리를 이해 관계자에게 시연하고 피드백을 받습니다. 그들은 잘 된 것과 잘 되지 않은 것, 다음 스프린트에서 개선할 수 있는 것을 검토 스프린트 회고전 팀은 이전 스프린트를 되돌아보고 다음 스프린트에서 개선할 방법을 찾기 위해 모입니다. 무엇이 잘 되었는지, 개선할 수 있는 것.. 애자일 개발: 빠르게 변하는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처하는 방법 애자일 방법론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로 쪼개어 짧은 주기로 반복하며,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기존의 워터폴 방법론과 달리 요구사항을 작은 조각으로 쪼개어 작업을 진행, 작은 주기로 결과물을 빠르게 제공하며 피드백을 받아 개발 방향을 수정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와 고객은 빠르게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프로세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스크럼(Scrum)과 XP(eXtreme Programming)입니다. 스크럼 일정한 주기로 스프린트(Sprint)를 진행하며, 일정한 주기로 결과물을 릴리즈합니다. XP(eXtrem Programming) 소규모 팀에서 빠르게 개발하고 변경하는 방법론으로, TDD(Test-Driven Development)와.. Kotlin 코드 문서화를 위한 주석 작성 방법 Kdoc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코드 문서화는 앱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드 문서화를 통해 코드를 이해하는 것이 쉬워지므로, 앱을 개발하는 개발자뿐만 아니라, 앱을 유지보수하거나 다른 개발자와 협업하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이번에는 Kotlin 코드를 문서화하는 데 사용되는 Kdoc 주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doc이란 무엇인가? Kdoc은 Kotlin에서 코드 문서화에 사용되는 주석 형식입니다. Kdoc 주석은 JavaDoc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함수, 변수, 클래스 등의 Kotlin 코드를 문서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Kdoc 주석을 사용하여 코드를 문서화하는 이유 코드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쉬워집니다. 코드의 유지보수 및 개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Kdoc 주석의 작성..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